
워크플로우 이해 • 사용자의 앱 인터페이스 작동 방법과 수행 순서를 고려하여 혼란을 일으키지 않는 워크플로우를 제작할 수 있다. 워크플로우(workflow) 이해 1. UI 화면 설계 작성 순서 UI 화면 설계는 UI 디자인에 앞서, 먼저 사용자의 분석을 토대로 UI 시나리오 문서를 충 실히 작성하여야 한다. 또한 최종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해야 하고 감성적인 목표 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. UI 화면 설계를 위한 UI 시나리오 작성 단계는 다음과 같다. UI 화면 설계의 첫 번째 작업은 앞선 학습 1의 정보 구조 설계를 기획하는 단계이다. 두 번째 작업은 본 학습 2의 사용자가 앱 서비스를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하는 단계이다. 사용자가 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방법과 태스크 흐름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..

정보 설계 구성 • 수립된 UI/UX 전략을 바탕으로 스마트 문화 앱 UI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정보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정보 설계 정보 설계의 목적은 사용자와 앱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 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. 사용자 요구 사항으로부터 도출된 콘텐츠와 기 능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UI 구조와 내비게이션(navigation), 레이블링(labeling) 체계를 정 립하는 과정이다. 1976년 정보 설계(Information Architecture, IA)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언 급한 리처드 사울 워먼(Richard Saul Worman)은 정보 설계의 목적을 “데이터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 바꾸는 것.”이라고 하였다. 1. 정보 설계의 정의 ..

4-1. 사용자 유형별 조사 계획 • 사용자의 계층별 성향을 조사하여 서비스 디자인 요소 간의 관계성을 확립하고, 대상 서비스 디자인 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. 1. 조사 계획 설문 조사 계획 설문은 관심 있는 특정 주제에 관한 사람들의 행동,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 조 사 초기 단계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. 일반적인 시장 조사를 위한 설문과 달리 이 단계에 서 진행되는 조사 계획 설문은 짧고 간결하며 어렵지 않은 질문으로 구성된다. 이를 통해 주제를 더 빨리 파악하고, 흥미로운 사용자의 패턴을 알 수 있으며, 조사를 어디에 집중해 서 진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. 조사 계획 설문은 문화 인류학적 조사를 위해 참가자를 가려내고 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. 또 설문 조사에서 얻은 초기 결과가 애초에 팀에서 예상..

매체별 디자인 제작 및 표준화 • 다양한 매체의 특성에 따른 구성 요소를 디자인할 수 있다. • 매체의 다양성을 반영한 해상도, 파일포맷파일 포맷 환경을 고려하여 디자인 할 수 있다. •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범용성·공용성을 지켜 다양한 디바이스(device)가 요구하 는 표준화를 적용할 수 있다. 1. 매체별 디자인 1-1. 픽셀(pixel) 픽셀(pixel)은 picture element의 약자로,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각형 점을 의미한다. picture(그림)와 element(원소)를 합성한 단어이기 때문에, 우리나라에서는 ‘화소(畫素)’라 부르기도 한다. 1-2. 해상도 해상도란 그래픽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의 정밀도, 즉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(pixel) 수를 의 미한다. ..

UX 구성 요소 적용 • 사용자 경험에 따른 반응, 시간,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각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. 1. UX(user experience, 사용자 경험) UX(user experience), 즉 사용자 경험이란 사용자가 제품이나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얻게 되는 느낌이나 생각 등을 포함한 모든 측면에서의 총체적 경험을 의미한다. 여기서의 경 험은 단순히 지각적 경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, 지각 전반에 걸쳐 사용자가 참여하 고 사용하고 관찰하며 상호 교감을 통해 누적되는 가치 있는 경험을 의미한다. 사용자 경 험은 제품·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느낌과 생각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주관 적 특성을 지닌다. 사용자 경험의 목표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·시스템을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에게..

UI 구성 요소 제작 • 프로젝트 분석·설계에 따른 사용자 환경을 디자인하고 구조화할 수 있다. • 사용성을 고려하여 시각적 특성에 맞게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. 1. UI 제작의 원칙 인터페이스(Interface)란 두 개체가 만나는 접점에서 상호 간의 소통을 위하여 만들어진 매 개체, 즉 소통하는 통로를 의미한다. 특히 사용자와 디지털 기기·디지털 시스템이 상호작 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·가상적 매개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(UI, User Interface)라고 하는데,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·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‘입력장치’와 사용자가 입력한 것의 결과를 표시하는 ‘출력장치’로 구성된다.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작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. 1-1. 메타포(Metaphor..

심미적 요소 표현 • 서비스, 제작물의 통합적인 아이덴티티를 고려하여 기획된 콘텐츠와 디자인 가이드를 조합할 수 있다. • 전체적인 시각적 요소인 균형과 조화를 이용하여 심미적 요소가 가미된 조형성을표현할 수 있다. • • 동일 계열의 유사브랜드나 경향을 분석하여 전략적인 비주얼 콘셉트를 확보할 수있다. 1. 시각 인터페이스의 심미적 요소 인간은 주변의 데이터나 언어 등의 정보를 시각적 요소로 변환하여 생각하는 특징을 지니 고 있다. 따라서 정보의 시각화를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 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. 1-1. 시각화 시각화(visualization)란 언어나 수치로만 된 정보를 마음속에서 그림이나 이미지 등의 형태 로 바꾸어 사고하는 과정을 뜻한다. 특히, 정보의 시각..

스토리보드 작성 • 프로젝트 관련된 전체적인 정보설계를 구성할 수 있다. • 와이어프레임와이어 프레임(Wwire Fframe)에 기반을 두어 표현되는 정보와 기능에 따른 상세 스토리보드 흐름(Fflow)을 기획할 수 있다. 1. 스토리보드 웹에서의 스토리보드는 웹 사이트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설계도이자 구체적인 작업 지침 서로, 각 화면에 대한 정의와 구성, 내용, 기능, 서비스 흐름을 상세하게 설계하고 정의한 문서이다. 와이어 프레임이 화면의 구조와 흐름을 파악하거나 전체 구조를 조감하기 위해 비교적 단순화한 작업인 반면, 스토리보드는 각 화면의 흐름이 자세히 포함된 작업이다. 스토리보드의 완성은 기획 단계의 마무리를 의미하는데, 스토리보드에 명시된 내용을 토 대로 디자이너는 시각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..